라우생각

[라우상식] 슈링크플레이션 개념 및 뜻 바로알기 / shrinkflation 경제용어 본문

라우생각/라우상식

[라우상식] 슈링크플레이션 개념 및 뜻 바로알기 / shrinkflation 경제용어

라우형 2023. 11. 24. 09:00
728x90

 

안녕하세요. 라우상식의 라우형입니다.

 

오늘은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서 설명해 드릴까 합니다.

 

최근 물가가 미친 듯이 치솓으면서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고있는데요.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서 한번 알아볼까요??

 

 

 

슈링크플레이션이란? [shrinkflation]

 고물가 혹은 가격인상 시 높아지는 가격으로 판매실적에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하여, 제품의 가격은 기존대로 유지하는 대신 제품의 크기 및 중량을 줄이거나 품질을 낮추어 생산하여 간접적으로 가격 인상의 효과를 거두려는 전략입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피파 맘그렌이 고안해 낸 합성어로, '줄어들다'라는 뜻의 '슈링크(shrink)'와 '전반적·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이다. 

 

 

 한국에서의 슈링크플레이션의 가장 큰 예시로는 2011년 질소과자 사건을 들 수 있으며, 과대포장에서 현재에는 중량을 줄이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것 같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319501&plink=SEARCH&cooper=SBSNEWSSEARCH

 

과자 값 '껑충'…더 커진 포장에 숨은 비밀

지난해 말 이후 과자값이 줄줄이 오르고 있습니다. 많게는 20%까지 가격이 인상되면서 과자 겉포장도 꽤 커졌는데, 내용물이 그만큼 늘어난 게 아닙니다, 소비자들을 눈을 속이는 뻥튀기 포장,

news.sbs.co.kr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이마트 용산점에 방문해 주요 품목 물가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출처=뉴시스]

슈링크플레이션은 불법인가?

 현행 소비자보호법상 슈링크플레이션은 불법이 아니다. 제품 용량을 줄여도 포장 표시와 용량이 같다면 문제가 없고 이를 소비자에게 알릴 의무도 없다.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고 정부가 취할 수 있는 대책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우리 정부는 슈링크플레이션 이 현행 법상 불법적인 것은 아니지만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물가 부담이 있는 데다 마치 가격 인상이 없는 것처럼 기만하는 측면도 있어 이를 '꼼수인상'으로 보고 대응할 계획이라고 한다.

 

프랑스의 경우에도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가격 인하를 유도하겠다며 26개 제품에 '슈링크플레이션' 경고 딱지를 붙이고 있는 추세이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왜 나쁠까?

 슈링크플레이션의 경우 기업입장에서 바라볼 때에는 합리적인 판매 전략일 수도 있다. 하지만 가격은 유지하면서 용량을 줄이는 것을 소비자에게 알리지 않는 것은 소비자의 선택을 방해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라고 보는 것이다. 즉 소비자는 비싼 대신 품질이 좋거나, 품질은 살짝 떨어지지만 가격이 저렴한 상품을 구매할 권리가 있다. 하지만 기업의 일률적으로 슈링크플레이션 전략을 활용하게 된다면, 소비자들이 이러한 선택의 폭이 좁아지고 꼼꼼하게 보지 않는 사람은 알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용량을 줄이면서 원가가 어느 정도 줄어드는지 명확히 알 수도 없으며, 이에 따른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 통제하기 어렵다. 말 그대로 기업의 이윤을 높이며 물가를 통제할 수 있는 현상이 벌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슈링크플레이션은 정부의 감시하에서 통제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