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항산제
- 원데이클래스 추천
- 한국판 배틀로얄
- 설사치료제
- 블로그 시작
- 취미생활 추천
- 소로레이트 뜻
- 슬기로운 취미생활
- 활명수 효능
- 활명수 역사
- 이색데이트
- 김우석 주연 드라마
- 부모님 선물
- 미스테리 드라마 추천
- 이재인 출연 드라마
- 저비용 취미
- 소화장애 약물
- 밤이 되었습니다 리뷰
- 러닝
- 데이트코스 추천
- 청소년 필독도서
- 태평양전쟁
- 라우생각
- 복통 약물
- 밤이 되었습니다
- 세이노의 가르침 리뷰
- 직장인 취미생활 추천
- 소화제 역사
- 넷플릭스 정주행 드라마
- 밤이 되었습니다 추천
- Today
- Total
라우생각
[라우상식] 헤게모니의 뜻은 무엇인가? / 정치 관련 용어 본문
안녕하세요. 라우입니다 :)
오늘은 라우상식의 4번째 시간 헤게모니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헤게모니 (Hegemony)의 개념
헤게모니는 쉽게 풀어쓰면 패권, 사전적인 뜻은 어떠한 일을 주도할 수 있는 권력 또는 권한을 말한다. 패권주의적 표현으로는 특정 국가가 다른 국가를 지배하여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개념으로 통용된다.
이러한 사전적 의미는 패권주의적 형태에서 강하게 표현될 수 있으나, 오늘날에는 좀 더 순화되어 "특정 국가가 다른 국가와 협상하는 데 있어, 주도권을 가진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좀 더 이해하기 좋을 듯하다.
강력한 힘을 바탕으로 전체를 이끌거나 주동할 수 있는 권력
쉽게 예를 든다면, 최근 미중 무역경쟁을 예를 들 수 있다. 경제적 패권을 갖기 위해 미국과 중국이 분쟁하고 있으며, 미국은 기존의 질서를, 중국은 자기중심의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세계 경제에 있어 우위를 점하기 위해 경쟁을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ex) 문화 산업 (K-POP의 영향력) / 기업 (애플 VS 삼성 시장 점유율 싸움)
헤게모니 탄생 배경
헤게모니의 유래는 헤게몬(hegemon)이란 직위에서 유래했다. 알렉산더 대왕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가 그리스 정복 후 코린토스 동맹을 구성하였는데, 그 수장의 직위명이 헤게몬이다.
이렇듯 헤게모니라는 단어는 이전부터 존재하였는데, 우두머리라는 기본적인 의미 이상의 의미는 없었다. 본격적으로 의미가 부여된 시점은 1960년대의 서구 마르크스주의가 발흥하면서부터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고 사양하기 시작했다.
특히 그람시는 이 개념을 통해 선진화한 서구권의 자본주의 국가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했다. 그람시 이전까지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는 지배자의 일방적인 억압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그런 생각과는 달리 피지배계층의 반발은 한정적인 것이었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피지배 계층이 지배 계층의 권력에 동의한다는 발상을 헤게모니라는 개념을 통해 압축하여 표현하여 사용되었다.
현재에는 이데올로기 적인 측면에서 벗어나, 패권주의, 미중 패권 경쟁 등에서 많이 쓰인다.
헤게모니와 이데올로기의 차이점
헤게모니 집단 간의 정치적 투쟁/권력 갈등
이데올로기 사상이자 이념
헤게모니와 이데올로기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를 이야기할 때 항상 덧붙여 다른 하나를 이야기하게 되지만 같은 개념은 아니다. 즉 헤게모니의 정당화를 위해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게 되며, 이데올로기의 한계를 비판하며 또 다른 헤게모니 다툼이 생길 수도 있는 것이다.
헤게모니와 권력의 구분
동의와 인정에서 나오는 힘과 단순히 수단으로써 작용하는 힘
헤게모니를 단순히 권력이라는 말과 동일시 할 수는 없다. 기존의 권력의 폭력적이고 억압적으로 행사되어 왔다는 점에서 지금의 시점은 권력의 행사가 단순히 억압과 폭력이라는 수단을 동원해서 행사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정도의 피지배자들의 동의를 얻어서 행사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는 것이 바로 헤게모니의 개념이기 때문이다,
즉, 권력의 행사에 있어서 헤게모니를 가졌다는 것은 바로 피지배자들에게 인정을 받고, 동의를 얻어낸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감사합니다.

'라우생각 > 라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상식] 소로레이트 뜻 설명 / 순연혼(順緣婚) 개념 (48) | 2023.11.20 |
---|---|
[라우상식] 신입사원 회사 필수용어 정리 / 이것만 알아도 중간은 간다!! (88) | 2023.11.08 |
[라우상식] 이데올로기의 뜻은 무엇인가? / 정치이념 개념, 종류 (99) | 2023.10.22 |
[라우상식] 디지털노마드란 무엇인가? / 디지털노마드 개념 설명 (117) | 2023.10.17 |
[라우상식] 성인 필수 영양제에 대해서 알아보자 / 필수 비타민 (90) | 2023.10.13 |